한승원 (소설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승원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1939년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났다. 1966년 신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가증스런 바다〉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1968년 소설 〈목선〉이 대한일보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작품은 주로 욕망과 운명에 맞서는 인물들을 통해 한의 정서를 표현하며, 고향인 장흥을 배경으로 강렬한 장소성을 드러낸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해변의 길손』, 『불의 딸』, 『아제 아제 바라아제』, 『보리 닷 되』 등이 있으며, 한국소설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이상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자녀인 소설가 한강과 한동림 또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흥고등학교 동문 - 박종문 (법조인)
박종문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판사, 헌법재판소 사무처장, 변호사 등을 역임하며 헌법재판소 위상 강화에 기여했고, 사회적 약자 보호에 관심을 가지며 한빛청소년대안센터 및 아름다운재단 이사장으로 사회 활동에도 참여했다. - 장흥군 출신 - 임종석
임종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한양대학교 총학생회장과 전대협 의장 출신 학생운동가에서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문재인 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역임했다. - 장흥군 출신 - 위성곤
위성곤은 제주대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을 역임한 후, 제20대, 제21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한승원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작가 정보 | |
제목 | 한승원 |
로마자 표기 | Han Seung-won |
출생일 | 값찾기 |
출생지 | 값찾기 |
사망일 | 값찾기 |
사망지 | 값찾기 |
직업 | 값찾기 |
언어 | 값찾기 |
국적 | 값찾기 |
학력 | 값찾기 |
사조 | 값찾기 |
주요 작품 | 값찾기 |
수상 | 값찾기 |
스승 | 값찾기 |
제자 | 값찾기 |
배우자 | 값찾기 |
부모 | 값찾기 |
형제 | 값찾기 |
동거인 | 값찾기 |
자녀 | 값찾기 |
친척 | 값찾기 |
영향 받은 인물 | 값찾기 |
서명 | 값찾기 |
묘소 | 값찾기 |
묘비 | 값찾기 |
2. 생애
1966년, 〈가증스런 바다한국어〉로 신아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며 문단에 데뷔했다.[2] 같은 해 장동국민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신혼 생활을 시작했다. 1968년 소설 목선이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가로 활동했다.[4] 1972년 광주 문인들과 동인회 "소설문학"을 조직했고, 문순태, 김신운, 강순식, 이계홍 등이 동인으로 참여했다.[4]
1980년 "구름의 벽"으로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한국문학작가상, 대한민국문학상 등 많은 문학상을 받았다. 1997년 장흥으로 귀향하여 현재까지 거주하고 있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1939년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신상리에서 8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 할아버지에게 명심보감을 배웠다. 장흥중학교를 거쳐, 1954년 장흥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고등학교에서 문학반에 들어가 김용술 교사와 송기숙을 만났다. 1955년, 송기숙과 교내 잡지 『억불』을 창간해 수필을 실은 것이 계기가 되어 문학 수업을 시작했다.[2] 집안 생활이 어려워 대학 시험에 실패하고, 고등학교 졸업 시험을 치른 후 졸업장도 받지 않고 고향집에 있었다.1956년 고향집에서 농사를 도우며 문학 수업과 교직 면허 취득을 위해 공부했다. 교직 시험에 실패하고 잠시 농사를 계속했지만, 진학을 마음먹고 대학 입시 공부를 시작했다. 1961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입학했다.[2] 김동리 교수 강의에서 이문구, 박상륭, 조세희, 강호무, 한상윤, 이건청, 하현식, 장효문, 조정자, 곽현숙, 백인빈, 김원일, 양문길, 신중신 등 이후 소설가가 된 많은 사람과 교류했다. 톨스토이, 헤밍웨이, 앙드레 지드, 사르트르, 카뮈 등 작품을 탐독하면서 2주에 1편씩 소설을 습작하며 김동리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았다.[2] 그러나 서라벌예대를 졸업하지 못한 채 중퇴를 선택하고, 1962년 귀향, 이듬해인 1963년 1월에 입대했다. 1965년 결혼하였고 처가에 살면서 습작을 계속했다.[2]
2. 2. 작가 데뷔 및 교직 생활
1939년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8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 할아버지에게 명심보감을 배웠다. 장흥중학교를 거쳐 1954년 장흥고등학교에 입학하여 문학반에 들어가 김용술 교사와 송기숙을 만났다. 1955년, 송기숙과 교내 잡지 『억불』을 창간해 수필을 실은 것이 계기가 되어 문학 수업을 시작했다. 집안 형편이 어려워 대학 시험에 실패하고 고등학교 졸업 후 고향집에서 농사를 도우며 문학 수업과 교직 면허 취득을 위해 공부했다. 1961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입학하여 김동리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이문구, 박상륭, 조세희 등 훗날 소설가가 된 많은 사람들과 교류했다. 톨스토이, 헤밍웨이, 앙드레 지드, 사르트르, 카뮈 등의 작품을 탐독하며 소설을 습작했다.1962년 서라벌예대를 중퇴하고 귀향, 1963년 1월에 입대했다. 1965년 결혼하여 처가에서 살면서 습작을 계속했다. 1966년, 〈가증스런 바다〉로 신아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면서 문단에 데뷔했고, 그해 장동서국민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신혼생활을 시작했다.[2] 1968년에는 소설 목선이 대한일보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가로 활동했다.[4] 1972년 광주 문인들과 동인회 "소설문학"을 조직했고, 문순태, 김신운, 강순식, 이계홍 등이 동인으로 참여했다.[4]
1970년 동신중학교 교사로, 1978년 동신여자중학교 교사로 근무하다 1979년 교직을 떠나 집필 활동에 전념했다.
2. 3. 문학적 성취 및 귀향
1968년 소설 목선이 대한일보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가로 활동하였다. 1972년 광주 문인들로 구성된 동인회 "소설문학"을 조직했는데, 문순태, 김신운, 강순식, 이계홍 등이 동인으로 참여하여 함께 문학 수업을 했다.[4] 1980년 "구름의 벽"으로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한국문학작가상, 대한민국문학상 등 많은 문학상을 수상했다.1997년 귀향하여, 현재 장흥에 거주하고 있다. 그의 자녀인 한강과 한동림 역시 작가이다. 한승원과 한강은 모두 이상문학상과 김동리문학상을 수상했다.[6]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상 이름 |
---|---|
1980년 | 한국소설문학상 |
1983년 | 한국문학작가상 |
1983년 | 대한민국문학상 |
1988년 | 이상문학상 |
1988년 | 현대문학상 |
1994년 | 서라벌문학상 |
1997년 | 한국해양문학상 대상 |
2001년 | 현대불교문학상 |
2002년 | 미국 기리야마 환태평양 도서상 |
2006년 | 동인문학상 |
2012년 | 순천문학상 |
한승원의 작품은 주로 욕망에 휩싸여 비극적인 운명을 맞는 인물들을 다룬다. 이들은 깊은 한[7]을 표현하면서도 운명에 굴복하지 않고 맞선다. 어떤 인물들은 광기에 휩싸여 파멸하고, 다른 이들은 욕망 때문에 죄를 짓는다. 이들은 고통의 악순환에 갇히며, 이는 한승원 작품의 주요 주제인 운명을 강조한다.
3. 작품 세계
대표작 중 하나인 단편 소설 해변의 길손은 고대 한국 영웅 신화를 바탕으로 한다.[8] 이 소설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 혼란기, 한국 전쟁, 근대화, 1980년대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다. 주인공 황두표의 비극적인 삶은 격동하는 한국 현대사를 반영한다. 카인과 아벨을 연상시키는 이 소설은 황두표와 그의 동생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8] 문학 평론가 우한용은 “황두표 가족의 비극은 그의 열등감에서 비롯되었으며 한국 근대사와 연관되어 있다; 개인의 비극은 민족의 비극으로 확장된다."라고 평했다.[9]
한승원의 소설은 그의 고향인 장흥군을 배경으로 하여 강렬한 지역색을 띤다. 고향의 언어, 사람들, 환경은 그의 작품에 중요한 요소이다. 한승원은 바다를 "우주의 자궁"이자 창작 영감의 원천이라고 묘사했다.[10]
3. 1. 주요 작품 경향
한승원의 작품들은 주로 욕망에 이끌려 비극적 운명을 겪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들은 깊은 한[7]을 드러내면서도 운명에 굴복하지 않고 맞서 싸우는 모습을 보인다. 어떤 인물들은 광기에 사로잡혀 파멸을 맞이하고, 또 다른 인물들은 욕망을 좇아 죄를 짓기도 한다. 이들은 고통의 굴레에 갇히게 되며, 이는 한승원 작품의 주요 주제인 운명을 부각시킨다.
한승원의 대표작 중 하나인 단편 소설 해변의 길손은 고대 한국 영웅 신화를 바탕으로 한다.[8] 이 소설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혼란기, 한국 전쟁, 근대화, 그리고 1980년대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의 긴 역사를 담아낸다. 주인공 황두표의 비극적인 삶은 격동하는 한국 현대사를 반영한다. 카인과 아벨 이야기를 떠올리게 하는 이 소설은 황두표와 그의 동생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8] 문학 평론가 우한용은 "황두표 가족의 비극은 그의 열등감에서 비롯되었으며 한국 근대사와 연관되어 있다. 개인의 비극은 민족의 비극으로 확장된다. 이 소설을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은 등장인물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황의 뼈저린 열등감이 역사의 격변을 겪으며 어떻게 커지고, 그것이 그의 인격을 어떻게 훼손하는지 볼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9]
한승원의 소설은 그의 고향인 장흥군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작품 속에서 강한 지역색을 느낄 수 있다. 고향의 언어, 사람들, 그리고 환경은 그의 작품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한승원은 바다를 "우주의 자궁"이자 창작 영감의 원천이라고 표현했다.[10]
한승원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책 이름 | 출시일 | 출판사 | 비고 |
---|---|---|---|
불의 딸 | 1983년 | 문학과지성사 | 장편 |
아제 아제 바라아제 | 1985년 | 삼성출판사 | 장편 |
갯비나리 | 1988년 | 문학사상사 | 장편 |
낙지같은 여자 | 1991년 | 지양사 | 장편 |
열애 일기 | 1991년 | 문학과지성사 | 에세이 |
사랑학습 | 1991년 | 동화출판공사 | 장편 |
꽃상어 | 1992년 | 한벗 | 장편 |
겨울폐사 | 1992년 | 중원사 | 중단편 |
내 고향 남쪽 바다 | 1992년 | 청아출판사 | 장편 |
어머니 | 1992년 | 문학사상사 | 장편 |
허무의 바다에 외로운 등불하나 | 1993년 | 고려원 | 에세이 |
새터말 사람들 | 1993년 | 문학과지성사 | 장편 |
동학제 1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2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3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4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5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6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7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시인의 잠 | 1994년 | 문이당 | 장편 |
사랑은 늘 혼자 깨어 있게 하고 | 1995년 | 문학과지성사 | 에세이 |
포구 | 1995년 | 정음사 | 장편 |
까마 | 1995년 | 문학동네 | 장편 |
키작은 인간의 마을에서 | 1996년 | 고려원 | 에세이 |
해산 가는 길 | 1997년 | 문학동네 | 장편 |
연꽃바다 | 1997년 | 세계사 | 장편 |
스님의 맨발 | 1998년 | 문학동네 | 에세이 |
꿈1 | 1998년 | 문이당 | 장편 |
꿈2 | 1998년 | 문이당 | 장편 |
노을아래서 파도를 줍다 | 1999년 | 문학과지성사 | 시 |
한승원의 글쓰기교실 | 1999년 | 문학사상사 | 인문 |
아리랑 별곡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검은댕기 두루미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누이와 늑대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목선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해변의 길손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내고향 남쪽바다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어린별 | 1999년 | 문학동네 | 장편 |
사랑 | 2000년 | 문이당 | 장편 |
멍텅구리배 | 2001년 | 문이당 | 장편 |
화사 | 2001년 | 작가정신 | 장편 |
우주 색칠하기 | 2002년 | 문학동네 | 장편 |
바닷가 학교 | 2002년 | 열림원 | 에세이 |
물보라 | 2002년 | 문이당 | 장편 |
초의 | 2003년 | 김영사 | 장편 |
이세상을다녀가는것가운데바람아닌것이있으랴 | 2005년 | 황금나침반 | 에세이 |
시방 여그가 그 꽃자리여 | 2005년 | 김영사 | 에세이 |
흑산도 하늘길 | 2005년 | 문이당 | 장편 |
아버지와 아들 | 2006년 | 일송포켓북 | 장편 |
소설 원효 | 2006년 | 비채 | 장편 |
와온 바다에서 차를 마시다 | 2006년 | 예문 | 에세이 |
차 한잔의 깨달음 | 2006년 | 김영사 | 에세이 |
앞산도 첩첩하고 | 2007년 | 책세상 | 중단편 |
키조개 | 2007년 | 문이당 | 장편 |
추사. 1 | 2007년 | 열림원 | 장편 |
추사. 2 | 2007년 | 열림원 | 장편 |
한승원의 글쓰기 비법 108가지 | 2008년 | 푸르메 | 인문 |
다산. 1 | 2008년 | 랜덤하우스코리아 | 장편 |
다산. 2 | 2008년 | 랜덤하우스코리아 | 장편 |
달 긷는 집 | 2008년 | 문학과지성사 | 시 |
한승원의 소설 쓰는 법 | 2009년 | 랜덤하우스코리아 | 인문 |
희망 사진관 | 2009년 | 문학과지성사 | 장편 |
피플 붓다 | 2010년 | 랜덤하우스 | 장편 |
보리 닷 되 | 2010년 | 문학동네 | 장편 |
항항포포 | 2011년 | 현대문학 | 장편 |
강은 이야기하며 흐른다 | 2012년 | 김영사 | 에세이 |
겨울잠 봄꿈 | 2013년 | 비채 | 장편 |
사람의 맨발 | 2014년 | 불광출판사 | 장편 |
물에 잠긴 아버지 | 2015년 | 문학동네 | 장편 |
3. 2. 대표작
책 이름 | 출시일 | 출판사 | 비고 |
---|---|---|---|
불의 딸 | 1983년 | 문학과지성사 | 장편 |
아제 아제 바라아제 | 1985년 | 삼성출판사 | 장편 |
갯비나리 | 1988년 | 문학사상사 | 장편 |
낙지같은 여자 | 1991년 | 지양사 | 장편 |
사랑학습 | 1991년 | 동화출판공사 | 장편 |
꽃상어 | 1992년 | 한벗 | 장편 |
겨울폐사 | 1992년 | 중원사 | 중단편 |
내 고향 남쪽 바다 | 1992년 | 청아출판사 | 장편 |
어머니 | 1992년 | 문학사상사 | 장편 |
새터말 사람들 | 1993년 | 문학과지성사 | 장편 |
동학제 1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2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3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4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5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6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동학제 7 | 1994년 | 고려원 | 장편 |
시인의 잠 | 1994년 | 문이당 | 장편 |
포구 | 1995년 | 정음사 | 장편 |
까마 | 1995년 | 문학동네 | 장편 |
키작은 인간의 마을에서 | 1996년 | 고려원 | 에세이 |
해산 가는 길 | 1997년 | 문학동네 | 장편 |
연꽃바다 | 1997년 | 세계사 | 장편 |
꿈 1 | 1998년 | 문이당 | 장편 |
꿈 2 | 1998년 | 문이당 | 장편 |
아리랑 별곡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검은댕기 두루미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누이와 늑대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목선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해변의 길손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내 고향 남쪽 바다 | 1999년 | 문이당 | 중단편 |
어린별 | 1999년 | 문학동네 | 장편 |
사랑 | 2000년 | 문이당 | 장편 |
멍텅구리배 | 2001년 | 문이당 | 장편 |
화사 | 2001년 | 작가정신 | 장편 |
우주 색칠하기 | 2002년 | 문학동네 | 장편 |
물보라 | 2002년 | 문이당 | 장편 |
초의 | 2003년 | 김영사 | 장편 |
흑산도 하늘길 | 2005년 | 문이당 | 장편 |
아버지와 아들 | 2006년 | 일송포켓북 | 장편 |
소설 원효 | 2006년 | 비채 | 장편 |
키조개 | 2007년 | 문이당 | 장편 |
추사 1 | 2007년 | 열림원 | 장편 |
추사 2 | 2007년 | 열림원 | 장편 |
다산 1 | 2008년 | 랜덤하우스코리아 | 장편 |
다산 2 | 2008년 | 랜덤하우스코리아 | 장편 |
희망 사진관 | 2009년 | 문학과지성사 | 장편 |
피플 붓다 | 2010년 | 랜덤하우스 | 장편 |
보리 닷 되 | 2010년 | 문학동네 | 장편 |
항항포포 | 2011년 | 현대문학 | 장편 |
겨울잠 봄꿈 | 2013년 | 비채 | 장편 |
사람의 맨발 | 2014년 | 불광출판사 | 장편 |
물에 잠긴 아버지 | 2015년 | 문학동네 | 장편 |
한승원의 작품은 대개 욕망에 휩싸여 비극적인 운명에 맞서 싸우는 인물들을 다룬다. 이러한 인물들은 깊은 ''한''[7]의 정서를 표현하는 동시에, 운명에 완전히 무력하게 굴복하지 않는다. 어떤 이들은 광기에 휩싸여 스스로를 파멸시키고, 또 다른 이들은 욕망을 채우기 위해 죄를 저지른다. 그들은 고통의 악순환에 갇히게 되며, 이는 한승원의 작품에서 운명이라는 주제를 강화한다.
한승원의 대표작 중 하나는 고대 한국 영웅 신화를 바탕으로 한 단편 소설 ''해변의 길손''이다. 이 소설은 일제강점기에서 해방 후 혼란스러운 시기를 거쳐 한국 전쟁, 근대화, 그리고 1980년대의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이르기까지 수십 년의 역사를 아우른다. 현대 한국사의 격동은 주인공 황두표의 비극적인 삶에 반영된다. 카인과 아벨의 줄거리를 연상시키는 이 소설은 황두표와 그보다 더 똑똑하고 부모에게 사랑받는 동생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8] 문학 평론가 우한용은 “황두표 가족의 비극은 그의 열등감에서 비롯되었으며 한국 근대사와 연관되어 있다; 개인의 비극은 민족의 비극으로 확장된다. 이 소설을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은 등장인물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황의 뼈저린 열등감이 역사의 격변을 겪으며 어떻게 커지고, 그것이 그의 인격을 어떻게 훼손하는지 볼 수 있다.”라고 평했다.[9]
한승원의 소설은 종종 그의 고향인 장흥군을 배경으로 하며, 강렬한 장소성을 띤다. 고향의 언어, 사람들, 그리고 환경은 그의 작품에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한승원은 바다를 "우주의 자궁"이자 그의 창작 영감의 원천이라고 묘사했다.[10]
4.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
1980년 | 한국문학상 |
1983년 | 한국소설가협회 한국문학작가상 |
1983년 | 대한민국문학상 |
1988년 | 이상문학상 |
1988년 | 현대문학상 |
1994년 | 서라벌문학상 |
1997년 | 대한민국 해양문학상 대상 |
2001년 | 현대불교문학상 |
2002년 | 미국 키리야마 환태평양 도서상 |
2006년 | 김동리문학상 |
2012년 | 순천문학상 |
5. 가족 관계
부인은 임강오이며, 아들은 한동림(1968년 ~ ), 딸은 한강(1970년 ~ )이다.[6] 아버지 한승원과 딸 한강은 모두 이상문학상과 김동리문학상을 수상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한승원 소설들
http://www.seelotus.[...]
2017-12-03
[2]
웹사이트
주간동아
http://weekly.donga.[...]
2017-12-03
[3]
뉴스
"[나의 도시 나의 인생] 소설가 한승원의 장흥"
http://news.chosun.c[...]
2017-12-03
[4]
뉴스
채널코리아뉴스
http://www.chkorea.n[...]
2017-12-03
[5]
Citation
Aje aje bara aje (1989)
https://www.imdb.com[...]
2017-12-03
[6]
웹사이트
장흥을 지키는 한강... {{!}} 투어 스토리 {{!}} 청사초롱 {{!}} 알림 {{!}} 한국관광공사
http://kto.visitkore[...]
2017-12-03
[7]
뉴스
사이버문학광장 문장
http://munjang.or.kr[...]
2017-12-03
[8]
웹사이트
대한민국 대표 문학상 수상작가를 찾아서 ① 韓勝源
http://monthly.chosu[...]
2017-12-03
[9]
문서
해설: 생명과 자유의지의 언어형상
Donga
[10]
뉴스
장흥, 꽃 피는 바다 - 소설가 한승원 - 장흥신문
http://m.jhnews.co.k[...]
2017-12-03
[11]
웹사이트
한승원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s://web.archive.[...]
2017-12-09
[12]
웹사이트
(10)청주 한씨(淸州韓氏)-642,992명
http://www.seoulecon[...]
2014-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